2025년 추가 청년대출 상세 가이드 (3종)
구분 | 중기청대출 (2024년 종료) |
청년전용보증부월세대출 | 청년주택드림대출 |
---|---|---|---|
대상 | 만19~34세 중소기업 청년 (2025년 종료) |
만19~34세 무주택 청년 |
만20~39세 청약당첨자 |
한도 | 최대 1억원 (종료) |
보증금 3,500만원 월세 1,200만원 |
분양가 80% (최대 3~4억원) |
금리 | 1.0%~1.5% (종료) |
보증금 1.3% 월세 0%~1.0% |
최저 2.2% |
특징 | 전월세자금 (종료) |
월세지원 | 주택구입 |
용도 | 전월세보증금 (종료) |
보증금·월세 | 내집마련 |
신청처 | 주택도시기금 (종료) |
주택도시기금 | 주택도시기금 |
1. 중기청대출 (2025년 종료, 청년버팀목으로 통합)
지원대상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일명 '중기청 대출'은 2024년까지만 운영되고 2025년부터는 청년버팀목전세대출로 완전히 통합되었습니다.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로서 중소·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 또는 청년창업자가 대상이었습니다.
신청자격 및 조건
대출 신청자와 배우자의 합산 총소득이 5천만원 이하이고 순자산가액이 3.45억원 이하인 자가 대상이었으며, 최대 1억원까지 대출이 가능했습니다. 금리는 1.0%~1.5%로 매우 저렴했으나, 현재는 신규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신청정보 및 절차
2025년부터는 중기청 대출이 청년버팀목전세대출로 통합되어 운영됩니다. 기존 중기청 대출 이용자는 만기 시 청년버팀목전세대출로 전환하거나 다른 대출상품을 이용해야 합니다.
혜택 및 우대조건
중기청 대출의 장점이었던 100% 보증 대출과 파격적인 저금리는 청년버팀목전세대출에서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다만 청년버팀목전세대출의 한도가 2억원으로 더 크고, 대상 범위가 넓어진 장점이 있습니다.
2.청년전용보증부월세대출 (월세 지원)
지원대상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로서 대출 신청자와 배우자의 합산 총소득이 5천만원 이하인 자가 대상입니다. 다자녀가구 및 2자녀 가구는 6천만원 이하, 신혼가구는 7.5천만원 이하까지 완화된 조건이 적용됩니다. 순자산가액은 3.45억원 이하여야 합니다.
신청자격 및 조건
임차보증금 5천만원, 월세금 70만원 이하인 임차 전용면적 60제곱미터 이하인 주택에 거주하는 청년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보증금 대출은 최대 3,500만원, 월세금 대출은 최대 1,200만원(24개월 기준 월 최대 50만원 이내)까지 가능합니다.
신청정보 및 절차
주택도시기금을 통해 신청하며, 대출기간은 25개월이고 4회 연장하여 최장 10년까지 이용 가능합니다. 임대차계약서상 잔금지급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보증서가 필요합니다.
혜택 및 우대조건
보증금 대출 금리는 1.3%, 월세금 대출 금리는 0%~1.0%로 매우 저렴합니다. 월세 부담이 큰 청년들에게 보증금과 월세를 모두 지원하는 상품으로, 주거비 부담을 크게 완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월세금 대출의 경우 거의 무이자에 가까운 조건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3.청년주택드림대출 (내집마련 지원)
지원대상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1년 이상 가입한 뒤 청약에 당첨된 만 20세 이상 만 39세 이하 무주택자가 대상입니다. 2025년 상반기에 출시된 신규 상품으로, 청년의 내집마련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신청자격 및 조건
분양가 6억원,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을 분양받은 경우 주택 가격의 최대 70% 한도 내에서 미혼은 최대 3억원, 신혼부부는 최대 4억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대출 금리는 최저 2.2%부터 시작하며, 소득과 대출 만기별로 달라집니다.
신청정보 및 절차
청약에 당첨된 주택의 소유권 이전 등기접수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할 수 있으며, 주택도시기금을 통해 신청합니다. 대출 만기는 최대 40년으로 설정할 수 있어 장기간 안정적인 상환이 가능합니다.
혜택 및 우대조건
생애주기별(결혼, 출산, 다자녀)로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으며,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과 연계하여 계약금 납부 목적으로 중도출금도 가능합니다. 기존 주택담보대출 대비 훨씬 저렴한 금리와 높은 한도를 제공하여 청년층의 내집마련을 실질적으로 지원합니다.
공통 주의사항 및 신청 팁
중기청 대출 종료에 따른 대안
2025년부터 중기청 대출이 종료되어 기존 이용자들은 만기 시 다른 대출상품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청년버팀목전세대출이 가장 유사한 대안이지만, 조건이 다르므로 미리 확인이 필요합니다.
월세vs전세 선택 기준
청년전용보증부월세대출은 월세 거주자에게 특화된 상품입니다. 전세 계약을 원한다면 청년버팀목전세대출을, 월세 부담을 줄이고 싶다면 청년전용보증부월세대출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집마련 계획
청년주택드림대출은 청약 당첨이 전제조건이므로, 미리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에 가입하여 1년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담 및 문의처
주택도시기금 콜센터: ☎ 1566-9009
온라인 신청: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nhuf.molit.go.kr)
청년주택드림대출: 국토교통부 청년주택드림청약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