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변경된 다자녀가구 혜택 출산및육아,주거지원,교육지원,교통지원,공공요금할인

by 야롱 2025. 7. 9.

다자녀가구

다자녀가구 혜택 총정리 (2025년)

다자녀가구 기준 변화

기존: 3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

2025년 변화: 지원 정책별로 2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도 다자녀 혜택 적용됩니다

※ 지원 정책별로 다자녀 가구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각 혜택별 요건 확인 필요합니다

출산 및 육아 지원

 

1. 첫만남 이용권

자녀 순위 지원 금액 사용 기간 사용처
첫째 200만원 출산 후 1년 산후조리원,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 등
둘째 이상 300만원 출산 후 1년 국민행복카드 사용처

2.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지원 금액: 태아당 100만원 (쌍둥이 200만원)

사용 기간: 출산(예정)일로부터 2년 이내 지급합니다

사용 방법: 국민행복카드로 지급됩니다

3. 미숙아·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대상: 2자녀 이상 다자녀가구에서 출생한 신생아,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소득수준 무관)

지원 금액:

미숙아: 체중별 최대 1,000만원

선천성 이상아: 1인당 최대 500만원

4. 산후도우미 서비스

대상: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

지원 기간: 최단 5일에서 최장 40일 (태아 유형, 가정 소득, 거주지 등에 따라 차등)

다둥이 가정 특례: 신생아 수와 관리사 비율 1:1로 최대 4명까지 지원됩니다

5. 아이돌봄 서비스

우선 제공 대상: 12세 미만 자녀 3명 이상 또는 36개월 이하 자녀 2명 이상

추가 지원: 2자녀 이상 다자녀가구 중 중위소득 150% 이하는 본인부담금 10% 추가 지원

주거 지원

 

1. 주택 구입자금 대출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구분 일반 2자녀 가구 다자녀 가구(3자녀 이상)
대출 한도 2.5억원 (생애최초 3억원) 4억원 4억원
소득 기준 연 6천만원 이하 연 7천만원 이하 연 7천만원 이하
우대 금리 - 연 0.5%p 연 0.7%p

※ 2025.3.24. 신규접수분부터 자녀 1명당 5년간 우대금리 적용 (최대 15년)

2. 전세자금 대출 (버팀목 전세자금)

자녀 수 우대 금리 적용 기간
1자녀 연 0.3%p 5년 (자녀 1명당)
2자녀 연 0.5%p 최대 10년
다자녀 (3자녀 이상) 연 0.7%p 최대 15년

3. 주택 특별공급

공공주택: 다자녀가구 특별공급 물량 별도 배정됩니다

민간주택: 신규 분양 시 다자녀가구 우선 공급합니다

어린이집: 2자녀 이상 가구 영유아 우선 입소합니다

교육 지원

 

1. 다자녀 국가장학금

소득구간 지원 금액 (연간) 비고
1~3구간 최대 570만원 자녀 3명 이상 다자녀가구
대학생 대상
(소득 9구간 이하)
4~6구간 최대 420만원
7~8구간 최대 350만원
9구간 최대 100만원

2.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대상: 다자녀가구 대학생

혜택: 무이자 또는 저금리 대출

상환: 취업 후 소득 발생 시 상환

교통비 지원

 

1. K-패스 할인 [2025년 확대]

자녀 수 기존 (2024년) 변경 (2025년)
2자녀 20% 30%
3자녀 이상 20% 50%

※ 대중교통 15회 이상 이용 시 이용금액 환급됩니다

2. 철도 운임 할인

KTX·SRT 이용 시:

2자녀 가구 (25세 미만): 어른 운임의 30% 할인됩니다

3자녀 이상 가구: 어른 운임의 50% 할인됩니다.

이용 방법: 레츠코레일, SR 누리집에서 다자녀 인증 후 이용됩니다.

 

자동차 관련 혜택

 

1. 자동차 취득세 감면

자녀 수 감면율 한도 대상
2자녀 50% 70만원 18세 미만 자녀 2명 이상
3자녀 이상 100% 140만원 18세 미만 자녀 3명 이상

2. 전기차 구매 보조금 [2025년 확대]

자녀 수 추가 보조금 비고
2자녀 100만원 기본 보조금에 추가 지원
3자녀 200만원
4자녀 이상 300만원

 

공공요금 감면

 

1. 전기요금 할인

대상: 주민등록표상 자녀 또는 손자녀 3명 이상 가구대상입니다.

할인율: 월 전기요금의 30%

한도: 월 16,000원

2. 도시가스 요금 할인

기간 할인 한도
동절기 (12월~3월) 월 18,000원
기타 기간 월 2,470원

3. 지역난방 할인

지원 금액: 월 4,000원

지급 방식: 연간 48,000원 일시 지급

신청처: 한국지역난방공사

문화·여가 혜택

 

국립시설 이용 혜택

국립수목원: 무료 입장

국립자연휴양림: 입장료 면제 (만 19세 미만 자녀 2명 이상)

신청 방법: 숲나들e 누리집 예약 시 인증 또는 현장에서 가족관계증명서 제시 

지자체별 추가 혜택

 

서울시 다둥이행복카드

발급 대상: 2자녀 이상 가구

주요 혜택:

대중교통 요금 10% 청구 할인 (월 한도: 2자녀 3천원, 3자녀 4천원, 4자녀 이상 5천원)

영화관, 놀이공원, 패밀리 레스토랑 할인되고 

협력업체 이용 시 할인 및 포인트 적립됩니다.

신청 시 유의사항

지원 기준 확인: 정책별로 다자녀 인정 기준(2자녀/3자녀)이 다르므로 사전 확인 필수

중복 지원: 일부 혜택은 중복 적용 불가능하므로 유리한 것 선택

소득 기준: 지원 정책별로 소득 기준이 다르므로 개별 확인 필요

신청 시기: 출산 전후, 자녀 연령 등 신청 시기 제한이 있는 경우 확인

문의처

복지로: 129

정부24: 1588-2188

여성가족부: 02-2100-6000

한국주택금융공사: 1688-8114

주택도시기금: 1599-0001

한국철도공사: 1544-7788

※ 참고사항: 2025년부터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이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2자녀 가구도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가정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패스 할인 확대, 전기차 보조금 증액 등 새로운 혜택도 추가되었으니

해당되는 가구는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자체별로 추가 지원이 있을 수 있으므로 거주 지역의 지원 정책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